[자동차] 상담 글 질문에 공감하시면 '나도 궁금해요'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꼴 확대하기
  • 글꼴 축소하기

Q.자동차 메케닉께 여쭙니다(시동켤때 배기가스)

지역California 아이디k**633****
조회13,920 공감0 작성일3/23/2014 4:13:22 PM
10년된 켐리인테 요즘들어 아침에 시동켤때 만 흰색 배기가스가 나옵니다.
배기가스에서 매연냄세는 별로 없구요 또 주행중이거나 오후에는 시동켤때는 나오지 않습니다.
10년 정도 되면 나오는 자연스런 현상인지 아님 수리를 요하는 문제가 생긴걸까요
수리를 해야한다면 어떤 부분에 문제가 있는것인지 수리비는 많이 드는 것인지 좀 알려주세요
0/1000

* 등록된 총 답변수 2개입니다.

회원 답변글
t**inr**** 님 답변 답변일 3/24/2014 5:05:30 AM
어떻게 해서 10 년이 지난후에 그것을 아시게 되었는지 모르지만 새 자동차도 추운 아침에 엔진 시작할때 하얀 연기나오는것은 (사실은 연기가 아니고 수증기) 정상입니다. 하지만 냄새가 있다던지 엔진이 더워저도 그러면 무슨 문제가 있는거에요. 그러니 (추운)아침에만 그러면 걱정마세요.
**a1500**** 님 답변 답변일 3/24/2014 11:28:23 PM
알기쉽게 설명 하겠습니다

1. 배기가스 색이 무색이거나 청색인 경우 - 아주 정상적인 상태입니다

2. 배기가스 색이 검정 또는 진한 회색인 경우 - 해드가스켓에 문제 있거나 배기밸브 씰이 닳아서 헐거워 졌을경우 연료 흡입계동의 불량으로 인해 엔진에 연료가 필요이상으로 과도하게 공급되는 경우, 에어휠터의 심한 오염으로 엔진으로 흡입되는 공기량의 감소로 연료와 공기 혼합비의 농도가 짙을 경우 나타나는 배기가스 색입니다

이때 발생되는발생 할 수 있는 현상은 정상적인 운행 도중에는 차가 살짝 떨기도 하고 엔진에 부하가 많이 받는 가파른 언덕길 올라갈때에는 자동차가 심하게 떨리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런경우에는 정비업소에 방문해 스캐너로 찍게되면 바로 수리해야 할 부분이 뜨게 되고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3. 배기가스 색이 흰색인 경우 - 엔진오일이 폭발행정시 연소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써 간단하게는 엔진오일을 규정이상으로 너무 많이 넣었을 때 엔진 해드부분에 너무 많은 오일이 올라와 있다가 흡입밸브, 배기밸브가 순간적으로 열릴 때 마다 조금씩 연소실로 내려가 탈 때 나타나기도 합니다

자동차에서 흰연기가 나는것을 발견하는 순간에는 차를 안전한 곳에 세우고 반드시 엔진오일을 체크해 보셔야 하는데 만약 오일이 정상 게이지에서 오버되어 있는것이 확인되면 당장 급한것은 아니므로 집에서 자작하든 정비업소에 가든 오일을 규정치로 빼어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엔진오일이 정상 게이지 표시 아래로 뚝 떨어져 있다면 이것은 심각한 상태입니다 즉. 엔진해드분분에 있는 흡배기 밸브 시트등이 닳아 틈새가 생겨 위에서 아래로 엔진오일이 흘러내려와 연소실에서 타는 것이고 또 하나는 피스톤 링의 과도한 마모로 인해 엔진 하부로부터 피스톤 링을 통해 연소실로 올라와 폭발시 연소되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오일은 줄어있고 흰연기는 펑펑 난다면 이상황은 엔진을 분해해야 하는 최악의 상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4. 배기가스 색이 흰색인데 머플러로 수증기와 물이 뚝뚝 떨어지며 많이 나오는 경우 - 엔진은 크게 두부분으로 윗부분을 해드라 하고 시커면 아래부분을 블럭이라 합니다 이 해드와 블럭을 조립시 그 사이에 가스켓(gasket)이 들어가는데 대체로 매탈 가스켓(metal gasket)을 주로 사용합니다
바로 이 가스켓에 금이 가거나 깨지는 경우 그리고 해드(head)부분에 실금이 가거나 하면 물과 오일이 혼합이 되어 오일량을 체크해 보면 크게 줄어있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물이 엔진오일의 양을 보충해 주기때문이죠 그리고 또 한가지는 냉각수를 점검해 보면 물표면에 기름이 많이 떠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제가 말씀 않드려도 상태가 무지 심각할것이라고 생각이 드시지요
이런 상태에서는 엔진 트러블이 무지 심하고 가속이 잘 되지 않습니다 엔진에 아주 심각한 데미지 입기 전에 시동걸지 마시고 견인하세요

참고로 배기가스 색은 정상인데 배기구에서 희뿌연 수증기도 나오면서 물이 몇방울씩 흘러내리는 현상을 보신적이 있으시지요?
이 증상은 아주 정상적인 것으로 추운 날씨에 차가와진 머플러를 수증기가 통과하면서 액화되어 액체상태로 머물러 있다가 어느 양이 되면 머플러 관을 타고 흘러 내리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도 겨울철에 입김 나오는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질문자께서는 흰색 배기가스라고 말씀하셨는데 수증기인지 본인이 잘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10년정도 되었으면 어느차라도 해드부분의 흡배기밸브 가이드쪽이나 피스톤 링이 조금은 닳아 있기 때문에 하루 밤을 낮은 기온에 세워두면 메탈 특유의 미세한 수축현상으로 인해 두 금속간의 갭(gab) 차이로 인해 시동시 잠깐동안 아주 약간의 오일이 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늙은 차들의 공통된 특징은 정상적으로 엔진오일 갈기 전에 약간씩 오일을 보충한다는 특징이 있지요 많이 보충한다면 거의 죽음직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자동차 분야 질문 더보기 +

주의 !
상담 내용은 질문자의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의 소견으로, 답변과 관련하여 답변한 전문가나 회원, 중앙일보, 조인스아메리카의 법률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추천전문가 전문가 리스트+

인기 상담글

ASK미국 공지 더보기 +

미국생활 TIP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