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에는 유해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장치가 있습니다. 이 장치를 통해 자동차의 배기 가스가 화학반응을 통해 정화하는 과정에서 물이 생성되는 것입니다. 당연히 물이 나오는 것이 컨버터가 제대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예전에 외국의 한 자동차 회사의 사장이 이 물을 직접 받아서 마시는 것으로 자기 자동차의 환경친화 시스템의 우월성을 광고하던 TV광고도 있었습니다. 이산화탄소대신 물이 나오는 것은 그만큼 자연연소가 된다는 것이고 좋은 일입니다.
t**inr****님 답변답변일12/21/2014 6:29:13 AM
물이 배기통으로 나오는것은 물이 새는게아니고 정상입니다. 엔진이 연료를 태우면서 물과 탄산까스 가 부산물로 나오게되어 있읍니다. 그래서 엔진이 차거울때 하얀 연기가 나오는것 보이는데 그것이 수증기이지요. 추운날아침에는 눈에띠게 보입니다. 그러면 님의차는 왜 그런 현상이 나느냐? 대개 그렇게 녹이 다른차에 비해 많이 스는것은 자동차를 짧은 거리 운행을 많이 하시면 그렇게될수가 있읍니다. 즉엔진이 2-3 마일 이상 쓰면 정상 온도에 오르고 배기관 까지 뜨거워저서 그물이 곧 증발하는데 짧은 거리운행을 자주하면 엔진이 뜨거워지지않아 그물이 조금씩 고이기 때문입니다. 그물이 순수한 물이아니고 약간의 산을 포함하고 있읍니다. 그러니 많은 짧은 주행은 자동차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줍니다. 그러니까 듣기에는 뒤에 끝부분 (tail pipe) 와 소음을 줄이는 머플러(muffler) 가 녹이슬어 물이 샌다고 하는데 소리만 시끄럽지않으면 그냥쓰셔도 되고 모양이 눈에 거스리면 tail pipe 만 바꾸는것은 값이 싸고 (<$100) muffler는 그리 비싸지 않으나 ($100-200?) 문제의 원인이 녹이슬었기때문에 그것들을 연결하는 배관 (exhaust pipe) 들을 녹이슬어 모두 바꾸어야할겄같군요. 그러면 몇백불 내라고 할거고. 그리고 보통 muffler 끝쪽에 바닥에 조그만 못구멍 만한 구멍이 물 고인것 흘러나가라고 뚤려있읍다. 보통 그곳부터 녹이슬기 시작하지요. 조그만 구멍이면 (1-2mm 직경) 이면 원래 뚤려있는거입니다.
o**oungsa****님 답변답변일12/21/2014 6:42:09 AM
너무나 빠르고 속 시원한 답변을 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좋은 성탄절 보내시길 기원합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