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상담 글 질문에 공감하시면 '나도 궁금해요'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꼴 확대하기
  • 글꼴 축소하기

Q.독감예방주사 꼭 맞아야 하나.

지역Texas 아이디y**gck****
조회8,094 공감0 작성일9/29/2010 9:33:49 AM
요즘 각 약국에서 독감 예방 주사를 써빙 하고 있습니다.
해마다 연례 행사 처럼 이때쯤 되면 길거리에 나붙는
광고 배너에 저도 25불을 주고 주사를 맞긴 했으나.

독감과 일반 감기가 다른데 아니 보통 감기는 오히려
인체에 항체를 강하게 하여 더욱 건강한 몸을 만든다는
책을 본적이 있는데 무엇이 맞는지 전문가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독감과 감기 차이점 그리고 예방 접종 맞으면 감기 안걸리고 겨울을 무사히 날수 있는지 아님 노약자나
어린아니 그리고 면역이 약한 병중인 환자를 위한 예방 접종인지 신종 독감 그거 백신 팔기 위한 쇼였는지.
0/1000

* 등록된 총 답변수 4개입니다.

크리스틴 조 님 답변 [건강] 답변일 9/29/2010 11:26:58 AM
오랜만에 좋은 질문을 보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일반적으로 감기는 특정하게 발병되는 계절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나 독감은 인플루엔자에 의해 전염되며 보통 11월에서 3월 사이의 환절기에 발생이 잦고 예후가 좋지 않은 것이 많아서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하기도 합니다.

독감은 증세의 빠른 확산이 특징인데, 고열이 나고 전신 또는 관절의 통증, 목이 아프고 눈이 따갑게 느껴질 정도로 아프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전신증상이 잡히는 듯하면 호흡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한의학에서는 감기이든 독감이든 구분을 하지 않고 좋지 않은 외감이 인체에 침범하는 것이 원인이며 주로 환절기 또는 이상 기후가 진행되면서 발병하는 것으로 보는데, 주목할만한 것은 외감의 종류가 무엇인지 어떤 성격인지 이것보다는 주로 환자에게 드러난 증상이 어떠한지에 맞춰서 치료를 하기 때문에 각 환자에 따른 치료법이 다양하고 해당 환자가 겪고 있는 병의 진행상태에 따라 계속 치료를 세부적으로 따라갈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또한, 완전히 증세가 사라지게 치료가 되고 나서 재발되지 않도록 조리하는 것까지 치료법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감기나 독감치료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인체의 면역력과 저항력을 키우는 것이 최상이라는 측면에 부합되는 긍정적인 면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질문주신 분이 궁금해 하시는 감기 이후 저항력이 더 높아지는 지?에 대한 답은 감기 증세가 그냥 끝났다고 모든 분들이 다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치료를 잘 하고 나서 재발되지 않도록 면역력을 높이는 치료 및 조리를 잘하면 그렇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치료가 잘 안되었거나 조리를 잘 하지 않은 분들은 일년 내내 감기를 달고 사시기도 하고 조금만 날씨가 변동이 되어도 바로 감기에 자주 걸리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한편, 독감은 예방주사를 맞는다고 해서 완벽하게 예방된다고 장담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생활 속에서 위생에 힘쓰고 평소의 면역상태를 좋게 하는 것이 근본적인 예방이 된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평소 면역력이 약한 사람, 소아 및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더욱 각별히 유의를 해야 합니다.

불특정한 사람들이 다수 모이는 곳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는 것, 양치질 손씼기를 반드시 자주 할 것, 여분의 옷을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온도변화에 대해 적절하게 대비할 것, 과음과 과로를 하지 않고 가장 중요한 것은 일정한 패턴으로 규칙적인 생활 리듬을 유지하여 식사, 수면 등이 잘 되도록 노력하여 인체가 과도하게 에너지를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항상 감기나 기타 질병은 내몸의 신호가 좋지 않을 때 슬그머니 들어온다는 것을 유념하면 됩니다.

어떤 치료이든지 남들이 좋다는 것보다는 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고 내 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좋은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이면 바람직하다고 보입니다.

그럼, 도움되셨기를 바랍니다.


그린한방병원♣그린여성한방클리닉
213-389-3003, www.ntoxdiet.com




크리스틴 조 [건강]

직업 한의성형/내과전문 한의사

이메일 dietgreen@hotmail.com

전화 213-389-3003

회원 답변글
k**ge**** 님 답변 답변일 9/29/2010 12:21:49 PM
참고하세요.

독감 바이러스는 매번 유행을 탈 때마다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백신을 개발하는데 난항을 거듭하게 마련이다. 또 짧게는 1년, 길게는 10~40년을 주기로 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유행할 균주를 예측하는 것조차 어렵다. 이에 세계보건기구(WHO)는 관련기관과의 협력하에 전세계적인 감시체계를 동원, 다음해에 유행할 것으로 예측되는 균주를 발표하게 되는데 이것이 백신에 들어갈 균주 중 하나가 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백신이 매년 독감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해준다.
보통 백신의 주성분은 병원균이다. 예방주사라는 것이 약한 병원균을 인체 내에 투입시켜 그 병원균에 대한 항체를 스스로 만들게 함으로써 같은 병원균이 침투했을 때 방어할 수 있도록 힘을 길러주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독감은 A형, B형, C형으로 분류되는데 백신에는 주로 유행을 일으키는 독감 A형 2종류와 B형 등 3~4종류의 균주가 포함된다. 물론 성분이 병원균이기 때문에 ‘인체 내에서 오히려 병을 일으키지는 않을까’하는 의문이 들 수도 있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아무리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라 해도 백신에 들어가는 균주는 질병을 일으킬만한 힘이 없기 때문이다.

100% 예방은 없다
백신을 맞고도 감기에 걸렸다는 사람을 찾기는 그리 어렵지 않다. 당연하다. 독감 백신이 감기를 예방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독감도 100% 예방을 장담하지는 못한다. 백신에 포함된 균주와 다른 바이러스가 유행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예방주사를 맞았을 때 증상이 경미한 상태로 넘어 간다든지, 치유까지 걸리는 시간이 단축된다든지, 주변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는 감염성이 적어진다든지 등의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독감에 대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되기도 한다.
백신은 자체만으로 효과를 백분 발휘할 수는 없다.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듯 최대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맞아 떨어져야 한다. 우선 연령에 따른 면역력이나 독감에 대한 면역력의 차이에서도 효과는 다르게 나타난다. 또 백신에 포함된 균주와 유행하는 균주가 얼마만큼 일치했느냐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백신에 포함된 균주와 유행균주가 어느 정도 일치성향을 보일 때 독감은 70∼90%까지 예방효과를 보이며 인플루엔자에 의한 사망률은 최대 80%까지 감소하기 때문이다. 즉 개인의 면역력과 백신에 의한 항체형성, 백신과 유행균주와의 일치 등이 적절한 조화를 이룰 때 독감에 대한 인체의 방어력은 기대 이상의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예방접종 시기는 독감이 유행하기 최소 2주 전까지는 맞아야 한다. 인체가 항체를 만드는데 2주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이다.
y**ngshinja**** 님 답변 답변일 9/29/2010 2:34:37 PM
안녕하십니까? AARP 메디케어 한인담당 제영신 입니다.

많은 분들이 독감과 감기에 대해 혼돈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독감과 감기는 콧물, 기침, 인후통, 피로등등 비슷한 증상을 보이지만, 같은 증상을 보인다고 해서 같은 질병은 아닙니다.

독감과 감기를 나누는 첫번째는 바로 원인이 되는 병원체입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서 감염됩니다. 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B,C 세가지 타입으로 구분하고, 그중 A,B가 많은 변종을 만들어냅니다.

반면에 감기는 상당히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에 의해서 발생됩니다. 라이노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아데노 바이러스, 콕사키 바이러스, 에코 바이러스 및 변종들이 50%의 감기를 유발하고, 나머지 50%는 미확인 바이러스입니다. 감기는 일반적으로 심각하지 않는 호흡기 관련 질병입니다.

독감은 감기와는 달리 치명적인 합병증,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하는 질병이기 때문에, 일반인 뿐만 아니라, 특히 호흡기질환자, 만성폐쇄성 폐질환자, 고령자, 심장, 신장, 당뇨환자등 만성질환자는 독감예방접종을 맞는 것이 좋습니다.

독감예방접종은 감기를 예방할 수 없습니다. 독감만 90%정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독감예방접종을 맞으면 독감이 걸리더라도 방어력이 생겼기 때문에, 가볍게 앓거나 합병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감기는 특효약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약 없이도 저절로 회복됩니다. 감기약은 치료제가 아니라 감기로 인해 발생되는 증상완화제로 보시면 맞습니다.

옛 어른들이 잘먹고 잘자고 잘 쉬면 감기에 안걸린다고 말씀하십니다. 몸이 건강하면 면역력이 높아져 어떤 질병도 이결낼 수 있는 힘이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쉽게 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 그만큼 감기는 몸의 수문장 역할을 한다고 보면 맞습니다. 아파서 강제로 쉬도록 해서, 더 큰 질병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만드는 노란불입니다.
y**gck**** 님 답변 답변일 9/29/2010 3:14:07 PM
업무분망 하실텐데 이토록 빠른 답변에 귀한 시간 할애하여 자상한 답변 주신 세분께 먼저 고개 숙여 감사 드립니다.
한의학에선 환자에따른 다양한 진행에 맞게 치료하고 면역력을 강화 스스로 방어 하라는 말씀

양의학은 백신을 맞아 강항균을 약화 시킴으로 병을 무난히 이길수 있게 도외주고

독감은 인플루엔자로 바이러스의 변종이나 감기는
호흡기 질환인것을 잘 알았습니다.
많은 공부 했으며 다들 건강한 겨울 잘 보내시길
바랍니다 거듭 감사 드립니다 .

건강 분야 질문 더보기 +

주의 !
상담 내용은 질문자의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의 소견으로, 답변과 관련하여 답변한 전문가나 회원, 중앙일보, 조인스아메리카의 법률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추천전문가 전문가 리스트+

인기 상담글

ASK미국 공지 더보기 +

미국생활 TIP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