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대체할 수 없는 교육의 본질, 글쓰기 ▶문= 학생들은 왜 글쓰기를 배워야 하는가? ▶답= 학업에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시대가 왔다. 챗GPT를 비롯한 생성형 AI 도구들이 사실상 보편적인 학업 도구로 자리 잡으면서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가 이 기술을 교육에 어떻게 통합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 가장 뜨거운 논쟁은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에 집중된다. AI는 요청만 하면 논리적이고 일관된 문장을 순식간에 만들어낸다. 그렇다면 학교의 에세이 과제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1/10 17:47 편집용 미주기사
좋은 조언보다 중요한 건 '나의 선택' ▶문= 대학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누구의 조언을 들어야 할까? ▶답= “정말 좋은 대학이 있는데 말이야…” 대학 입시 시즌이 되면 이런 말을 참 많이 듣게 된다. 친구, 부모, 교사, 선배까지 모두가 자신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조언을 건넨다. 친구는 함께 같은 명문대에 지원하자고 손을 내민다. 부모는 등록금 부담이 적은 주립대의 장점을 강조한다. 카운슬러는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작은 대학을 추천한다. 이 모든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1/05 17:42 편집용 미주기사
원서 제출 끝났다고 끝난 게 아니다 ▶문= 조기전형 원서 마감 후 학생들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답= 조기전형(EA·ED) 마감일(대부분 11월 1일 또는 11월 15일)이 지나면 많은 학생들은 극심한 긴장감 속에서 해방감을 느끼는 동시에 허무함을 경험한다. 치열한 준비와 마감 직전의 몰입이 끝나면 일부 학생들은 “이제 뭘 해야 하지?”라는 막막함에 빠지기도 한다. 그러나 EA·ED 마감 이후부터 정시지원(RD) 마감일인 내년 1월 1일~15일까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0/29 14:02 편집용 미주기사
7년의 실험 끝, 프린스턴은 왜 다시 시험을 선택했나? ▶문= 프린스턴대가 2028년 가을 학기부터 지원자들의 SAT/ACT 시험 점수를 다시 요구하기로 결정했다. 그 배경은 무엇인가? ▶답= 7년간의 실험이 끝났다. 프린스턴대가 2028년 가을 학기부터 SAT 또는 ACT 점수 제출을 다시 의무화한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도입됐던 '테스트 옵셔널' 정책의 종료다. 하버드, 예일, 유펜, 다트머스, 브라운, 코넬 등이 이미 같은 결정을 내린 상황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0/23 11:12 편집용 미주기사
‘SNS’도 본다, 입학사정의 새로운 변수 ▶문= 대학들은 지원자의 SNS계정을 들여다볼까? ▶답= 대학 입시를 치르는 12학년생이라면 성적과 에세이에 신경 쓰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최근 입시 과정에서 또 하나의 평가 요소가 부상하고 있다. 바로 지원자의 SNS 계정이다. 입학사정관들이 지원자의 인스타그램, 틱톡, X 등을 직접 들여다보는 일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이제 무시할 수 없는 트렌드가 됐다. 교육 기업 캐플란의 조사에 따르면 SNS를 참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0/17 16:42 편집용 미주기사
공립·사립 선택, 편견보다 데이터로 따져야 ▶문= 공립대, 사립대 중 어디가 좋을까? ▶답= 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자금 조달 방식이다. 공립대학은 주로 해당 주정부 예산으로 운영되고, 사립대학은 동문과 기부자들의 기부금인 '인다우먼트'로 운영된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가 각각의 특성을 만들어 낸다. 공립대학의 가장 큰 특징은 거주민에게 입학 우선권을 준다는 것이다. UCLA나 미시간 대학교 같은 명문 주립대학도 예외가 아니다. 물론 경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0/08 17:32 편집용 미주기사
표준시험 의무화 없는 대학, 정말 더 포용적일까? ▶문= SAT, ACT 옵셔널 정책이 다양성 확보의 만능 열쇠일까? ▶답= 지난 몇 년간 대학가에서는 하나의 트렌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SAT나 ACT 같은 표준 시험을 입학 필수 조건에서 제외한 대학이 급증한 것이다. 특히 팬데믹을 거치면서 이런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됐다. 그 배경에는 표준 시험이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이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테스트 옵셔널 정책만으로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09/30 11:07 편집용 미주기사
고교생들이 갖춰야 할 진짜 역량 ▶문= 미래를 준비하는 고교생들이 갖춰야 할 특별한 스킬이 있다면? ▶답= 인공지능이 산업 전반을 재편하고 Z세대가 역사상 가장 기업가 정신이 강한 세대로 부상하면서 전통적인 교육 준비 방식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은 시대가 왔다. 오늘날의 10대들에게는 단순한 좋은 성적과 표준화된 시험 점수를 넘어서는 역량이 필요하다. 가장 성공적인 10대들은 학업적으로만 준비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대학 입학과 미래 커리어에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09/22 16:32 편집용 미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