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상황은 크게 두 가지 가능성이 있습니다:
1. Vehicle/Insurance 정보 오인 (Clerical Error)
사고 현장에서 상대방이나 경찰 리포트에 잘못된 차량 번호판이나 보험 정보가 기재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번호판을 잘못 적거나, 보험사 이름/번호를 헷갈려서 선생님의 보험 정보로 클레임이 들어간 경우입니다.
미국에서는 이런 경우가 흔히 발생하며, 보험사가 확인 과정을 통해 "Not Involved" (무관)" 처리합니다.
2. Identity Theft/Insurance Fraud (보험사기 가능성)
Claimant가 고의로 다른 사람의 보험 정보를 사용해서 허위 클레임을 넣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선생님의 차량 번호판, VIN(차량식별번호), 이름/주소 등 개인정보까지 사용되었다면 Identity Theft일 가능성이 큽니다.
만약 단순히 같은 이름, 비슷한 차량 등록 정보로 혼동된 것이라면 Identity Theft보다는 보험 정보 착오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지금 하셔야 할 조치
보험사에 무관계 사실을 명확히 통보
"I have never owned or driven a Ford Escape, and I was not involved in this accident."
보험사에 공식적으로 서면 기록(이메일 포함)으로 남기시는 것이 좋습니다.
CHP Report 확인 요청
California Highway Patrol에서 작성한 사고 리포트를 열람하여 어떤 차량 번호판과 보험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만약 번호판이 아예 다른 차량인데 선생님 보험이 들어간 것이라면, 경찰 기록 오류일 수 있습니다.
보험사에 Fraud Investigation 요청
보험사가 SIU (Special Investigation Unit)를 통해 확인하도록 요청하세요.
선생님 보험 기록에 **Loss History (사고 이력)**가 잘못 남지 않도록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Identity Theft 가능성 점검
만약 선생님의 **개인정보(운전면허번호, SSN, 주소)**가 보험사기에 사용된 정황이 보이면,
FTC (Federal Trade Commission) IdentityTheft.gov 사이트에 신고
Credit Report Freeze (Experian, Equifax, TransUnion)로 추가 피해 방지
말씀 주신 상황은 보험정보 착오일 가능성이 높지만, 보험사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보험사와 CHP 리포트를 확인하시고, 필요시 Identity Theft 대응까지 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서보천TV] 자동차 보험 가입시 주의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