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보조의 헛수고는 이렇게 하라 [학자금 칼럼] 자녀의 성공은 부모의 헌신과 노력의 결과이다. 물론, 결과가 없는 노력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아무리 최선을 다해 노력했지만 결실이 없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그 노력은 단지 노력했다는 의미로 밖에는 볼 수 없다. 그 동안 혼신의 쏟은 정성과 노력은 모두 헛수고라는 말이다. 대부분 미주동포들은 이민을 온 가정이다. 그리고, 이민을 오게 된 배경도 매우 다양하지만 절대 다수가 이민을 오게 된 이유가 자녀의 교육문제 때문이라 한다. 그렇다. 리차드 명/대학 입학사정/학자금/재무사 2019/02/12 11:49 LA중앙일보
재정보조 헤택의 진실 - 아는 것과 결과가 다른 이유 [학자금 칼럼] 살다보면 헛수고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헛수고란 무조건 노력의 결과를 전혀 얻지 못한 일에 국한되는 것만이 아니다. 최근들어 대학마다 합격자 발표가 나오는 가운데 자녀들의 인생항로의 희비가 엇갈리는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학합격이 진정한 기쁨이 되기 위해서는 합격한 대학으로부터 재정보조지원을 잘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문제는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재정보조신청을 마치면 대학들이 어련히 잘 알아서 가정의 재정형편에 맞게 재정 리차드 명/대학 입학사정/학자금/재무사 2019/01/22 11:18 LA중앙일보
C.S.S. Profile과 사업체 적용기준 [학자금 칼럼] 재정보조 신청서는 대학에 따라 요구하는 종류가 다양하다. 이를 몇 가지로 대별해 보면 연방정부 신청서인 FAFSA (Free Application for Federal Student Aid)와 주로 사립대학들과 몇몇 주립대학들이 칼리지보드를 통해서 추가로 요구하는 CSS Profile (College Scholarship Service)을 들 수 있으며 이들 대학 중에는 대학의 자체적인 신청서를 별도로 요구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을 볼 수 있 리차드 명/대학 입학사정/학자금/재무사 2019/01/22 11:17 LA중앙일보
재정보조신청서 제출은 단지 시작이다 [학자금 칼럼] 물은 반드시 물의 온도가 끓는 점에 도달해야만 끓게 된다. 만약, 온도가 1도라도 낮을 경우에 절대로 끓지 않는다. 물이 끓기 위해서 이와 같이 모든 온도와 조건이 맞아야 하듯이 자녀가 대학진학을 하며 반드시 필요한 재정보조를 신청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이 같은 원리가 적용된다고 하겠다. 신입생의 경우는 무엇보다 대학들이 좋은 학생들을 선발하기 위해서 재정보조신청이 들어오면 뜻하지 않은 실수나 누락사항으로 인해 재정보조지원을 잘 받지 못함으로 리차드 명/대학 입학사정/학자금/재무사 2019/01/16 09:48 LA중앙일보
재정보조의 성공과 실패는 부모에 달렸다 [학자금 칼럼] 준비를 해서 발생한 실패비용보다 준비하지 않고 발생한 실패비용이 더욱 크다는 사실은 누구나 공감하는 사실이다. 하지만, 준비에 있어서 근소한 차이가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는 실질적으로 금전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예상보다 몇 배가 넘는 감당할 수 없는 비용이 될 수도 있어 자녀가 대학진학 시에 가장 큰 재정부담이 될 수가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재점검은 다시한번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부분의 학부모들은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면서도 일반적 리차드 명/대학 입학사정/학자금/재무사 2019/01/16 09:47 LA중앙일보
재정보조를 활용하는 진정한 의미 [학자금 칼럼] 아인슈타인은 영리한 사람은 문제를 당하면 문제를 풀려고 달려들지만 현명한 사람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피해 나간다고 했다. 삶을 살면서 당면하는 문제점들을 크게 두가지로 대별하면 아마도 사람문제와 돈문제로 크게 대별헤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자녀의 대학진학에 따른 관점에서 동일하게 이를 적용해 볼때에 자녀가 원하는 대학에 진학할 수 있도록 잘 준비시켜야 하는 교육문제의 중대사안과 동시에 이를 감당하기 위한 엄청난 대학진학 비용문제이다. 특히 리차드 명/대학 입학사정/학자금/재무사 2019/01/04 09:53 LA중앙일보
재정보조의 80/20 Rule [학자금 칼럼] 모든 일의 진행에는 오직 두가지 결과로 나타난다. 바로 성공과 실패이다. 반세기 전에 살았던 이태리의 유명한 경제학자인 빌프레도 파레토가 발표한 80/20 Rule이 던져주는 의미는 더욱 새롭다. 일명, 파레토의 법칙이라고 부르는 80/20 Rule은 당시 빌프레도는 이태리 영토의 80퍼센트가 이태리 전국민 중의 20퍼센트가 소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결과적으로 80퍼센트의 부가 대부분 20퍼센트 미만의 사람들에 의해 소유되고 것을 발견한 리차드 명/대학 입학사정/학자금/재무사 2019/01/04 09:52 LA중앙일보
사업체 설계를 통한 재정보조 혜택 [학자금 칼럼] 중국 송나라 시대의 이라는 책에서는 우리가 버려야 할 것을 버리지 못하면 스스로를 버리게 되고 돌아볼 줄을 안다면 반드시 돌아올 수 있다는 글이 있다. 참으로 마음의 경전과 같은 현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책이다. 나름대로 바쁘게 살아가는 현시대에서 얼마나 많은 시행오차를 반복하면서도 과연 몇번이나 내방식이 틀렸다는 식의 생각을 해보았는지 다시한번 돌이켜 보아야 하겠다. 어릴적 접했던 중국의 고서들 중에서 가장 교훈을 많이 얻은 책중의 리차드 명/대학 입학사정/학자금/재무사 2018/12/19 10:58 LA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