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비자] 상담 글 질문에 공감하시면 '나도 궁금해요'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꼴 확대하기
  • 글꼴 축소하기

Q.이런 business는 어떤 business 로 부르나요?

지역California 아이디c**ahsoo****
조회1,303 공감0 작성일11/14/2008 9:13:06 AM
가정에서 nursing home 같은것을 운영 하고 싶은데
어떤 자격을 갖추어야 하며 city에서 어떻케 알아 봐야 하며
어떻케 들어 가야 하는지 가르켜 주세요.

감사 합니다.

0/1000

* 등록된 총 답변수 3개입니다.

나상훈 님 답변 [머니/재테크] 답변일 11/14/2008 10:31:26 AM
미국에서 Medicaid and Medicare certified nursing homes에 대한 정보는
http://www.medicare.gov/Nursing/Overview.asp를 참고하세요

그리고 현재 양로원(Nursing home) 운영실태에 대해서는 다음의 [LA중앙일보] 09.29.08 기사가 도움이 될 것으로 봅니다

양로원 90% 안전규정 위반, 노인들 학대•방치…음식도 영양 부족, 영리시설, 비영리•정부시설보다 심해 [LA중앙일보] 09.29.08

양로원(Nursing home)의 90% 이상이 연방 안전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나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비영리나 정부운영 시설보다 더욱 많은 숫자의 영리시설에서 문제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연방 보건국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한해동안 연방 안전규정을 위반한 곳이 사설 양로원은 94% 비영리 시설과 정부운영 시설은 각각 88%와 91%로 나타났다.

비율로 보면 150만여명을 수용하는 전국의 1만5000곳의 양로원 가운데 사설 양로원은 전체의 3분의 2 비영리는 27% 정부 운영시설은 6%를 차지한다.

보건국의 대니얼 레빈슨 감찰관은 "한 시설 내의 평균 위반수치 역시 영리시설이 높았다"며 "2007년 한해 영리시설에서는 한 곳당 7.6건의 위반사항이 발견된 반면 비영리는 5.7 정부운영은 6.3에 머물렀다"고 발표했다.

리포트는 또한 전체의 17%는 직접적으로 즉시 위험을 끼칠 수 있는 위반을 저지르고 있다고 밝혔다. 위반사항으로는 의약품을 혼동하거나 환자들의 학대 및 방치 열악한 급식 등이 지적됐다.

레빈슨 감찰관은 이들 양로원들이 자격있는 의학전문가들을 필요한 만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며 인력부족을 규정위반의 근거로 제시했다.

이 밖에도 보고서는 상당수의 양로원에서 제공하지 않은 의료서비스를 메디케어와 메디케이드에 청구했으며 청구요금을 높이기 위해 환자들의 상태를 사실보다 심각하게 부풀려 제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처럼 열악한 양로 시설 관리를 개선하기 위해 12월부터 오성 시스템을 돌입할 방침이다. 관리가 잘 되어있는 곳은 별 다섯개 등급을 받고 가장 허술한 곳은 별 1개 등급이 매겨지는 것이다. 이 등급은 연방정부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게재될 예정이다.

정하연 기자 hayone@koreadaily.com
곽재혁 님 답변 [머니/재테크] 답변일 11/16/2008 11:44:28 AM
제가 아는경우만 말씀드리겠습니다. 가정에서하는 nursing home이라고 표현하셨는데요 아마 보통 6베드규모의 RCFE형태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경우 "administration license"를 따셔야 운영을 할수있고 보통 2년정도나 그이상을 문제없이 유지하면 그이상의 베드를 추가기킬수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제생각에 인터넷에서 RCFE를 타입하시고 정보 (ACFE도 알아보십시요) 를 얻어보십시요, 그리고 알아두실점은 지금부터는 일정한 수준의 senior(노인관련) 수용시설은 소방안정규정이 강화된것으로 들었습니다. 예를들어 웬만한 주택전체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하는식으로 규정이 바뀐것으로 알고있습니다. 만일 주택을 구입하셔서 사업을 시작하시려 한다면 이에 유의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또는 단기적으로도 정부의 예산부족과 노인 인구의 증가로 정부에 자금지원을 받는 시설등에 관한 자금지원문제나 그에 따른 감사도 심화될수있으므로 정확한 정보를 알아보시고 시작하심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관련예산을 신청하고 획득하는 일에 경험이 많은 사회복지사와도 상담해보시기를 권합니다. 위의 정보는 제가알고있는 지식이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해보시기를 권합니다.

곽재혁 [머니/재테크]

직업 부동산 중개인/미연방세무사(EA)

이메일 ameribest11@gmail.com

전화 213-663-5392/714-752-9002

곽재혁
회원 답변글
c**ahsoo**** 님 답변 답변일 11/14/2008 3:38:58 PM
감사합니다.

이민/비자 분야 질문 더보기 +

주의 !
상담 내용은 질문자의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의 소견으로, 답변과 관련하여 답변한 전문가나 회원, 중앙일보, 조인스아메리카의 법률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추천전문가 전문가 리스트+

인기 상담글

ASK미국 공지 더보기 +

미국생활 TIP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