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재테크] 상담 글 질문에 공감하시면 '나도 궁금해요'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꼴 확대하기
  • 글꼴 축소하기

Q.해외계좌신고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

지역California 아이디d**id****
조회2,964 공감0 작성일8/1/2011 3:00:52 PM
그동안 해외금융자산 신고 건에대한 여러번의 세미나가 있었읍니다.
미국법에 순응하여 법을 설명하고, 자진신고를 권장하는것은 참 좋은 일 입니다.
그러나 미국에 사는 사람들도 2년전 스위스 불법계좌 문제가 터진 후에나 이런법이 있다는것을 겨우 알았는데, 불법적인 돈도 아니고 몇십년을 고생하여 모은돈 이나. 부모로 부터 받은 유산등. 귀한 재산을 신고가 늦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전 재산의 25%를 Penalty로 내야한다면 말이 안되지요. 세금을 모두 납부한 합법적인 돈이라면 penalty가 없어야 합니다.
이법의 입법 취지도 세금포탈과 불법자금 도피를막고, 필요한 세금을 걷는것이 목적 일 것입니다, 오래전에 입법하였으나 그동안 법을 집행할 의지도 없었고,
법에 대한 홍보도 전혀 없었으므로, 미국정부의 책임도 크지요.
이문제는 한국 이민자들 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도,중국,홍콩등 전 세게 국가들과도 관계가 있읍니다. 재산의 25%를 penalty 로 낸다는것은 안됩니다.
물론 내지않은 세금이 있으면 당연이 내야지요. 그러나 합법적인 돈에 대하여 penalty로 몇 십만불을 당장 내라면 많은 사람들이 계좌신고를 회피할것입니다. 더 이상 죄인을 만들지 말아야합니다. 모두 신고할수 있도록 하기위하여Penalty는 유보 해주고, 현제시점의 계좌 신고만 받아서 관리하면 될것입니다,
다른 나라 컴뮤니티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도 알아보고,
그들과도 협조하여, 우리 이민자들이 이 문제릉 해결해야 할것 같읍니다.


감사합나다.
0/1000

* 등록된 총 답변수 2개입니다.

탈퇴한 전문가 님 답변 답변일 8/1/2011 3:43:45 PM

공감하며 제가 도움이 될수 있는 방법이 있으면 알려 주십시오.
다른 독자를 위해 아래 최재경 CPA 기고 동봉합니다.

한국 정부가 나서야 할 때다


입력일자: 2011-07-21 (목)

최근 LA와 OC에서 해외 금융계좌 신고 세미나를 가졌다. 유료 세미나라서 참석자가 많지 않을 것이라는 당초 우려와는 달리 170여명이 참석하였다. 해외 금융계좌 신고가 한인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관심사인가를 잘 설명해주고 있다.

무엇보다 고무적인 것인 15명의 세무 전문가가 워크샵에 참가해서 해외 금융계좌에 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를 가졌다는 것이다. 규정을 잘 몰라서, 또는 사태의 심각성을 잘 파악하지 못해서 “걸릴 가능성이 없으니 안 해도 된다”라는 식의 잘못된 조언을 하는 회계사나 세무사가 없어졌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변화이다.

개인 상담을 한 한인들의 상황과 해법은 제각각이지만, 모두에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억울하다는 것이다. 한국에 살면서 합법적으로 일해서 번 돈, 부모로 부터 상속이나 증여 받은 돈, 이미 한국에 적절한 세금을 내 온 돈들이다. 단지 법을 몰랐고, 그래서 신고를 못한 것뿐인데 최고 잔액의 25%를 벌금으로 빼앗긴다니, 아무리 법이라도 이렇게 무지막지 할 수 있느냐는 하소연들을 한다.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파악하고, 해법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회계사는 감정을 배제해야 한다. 객관적 시각을 유지해야만 올바른 상황 파악과 합리적인 해결책 모색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억울하다는 감정에 객관적 이기가 쉽지 않다. 입법 취지가 세금 포탈을 목적으로 해외로 도피한 자금을 색출하여 추가 세원을 확보하는 것일진대, 선의의 위반자에 대한 구제에 소홀하다.

지난 6월2일 반가운 소식이 있었다.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해외 금융자산 자진신고에 참여할 경우 벌금을 5%로 낮추어 주겠다는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벌금 계산에 포함될 수도 있는 부동산같은 비 금융자산의 가치를 벌금 계산에서 제외해 준다. 미국 시민권이나 영주권을 보유한 채 한국에 살고 있는 적지 않은 숫자의 한인이 혜택을 볼 수 있다.

외국에 오랫동안 살고 있는 미국인들에게 예외를 인정했다는 점에서 이번 새로운 규정은 미국에 살고 있는 한인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수 계층의 미국인은 해외 금융계좌 신고라는 규정을 모르거나 부득이하게 위반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을 미국 정부가 인정한 셈이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미국에 산지 얼마 안 되는 이민자들을 위한 예외 규정도 조만간 생기기를 기대한다.

이제 대한민국 정부가 나설 때다. 힘없는 기도만으로 우리를 위한 예외 규정이 생길 수 없다. 미국에 살고 있는 영주권자는 대한민국 국민이다. 미국에 살고 있는 시민권자도 한국인이다.

대한민국 국민이 미국정부에 부당하게 재산을 뺏기지 않도록 외교적 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 이민 전에 사 두었거나 부모가 물려준 아파트를 10억원에 처분했다면 지난 8년 동안 하루라도 은행 계좌에 잔고로 남아 있었을 것이다.

이 잔고에 25% 벌금을 낸다면 2억5,000만원이다. 대상자가 1만명이라면 2조5,000억원이고, 10만명이라면 25조원이다. 대한민국 국민이 부당하게 미국 정부에 엄청난 액수의 벌금을 내야할 위험에 직면해 있다. 그 엄청난 액수의 벌금은 결국 국부가 아무런 대가없이 국외로 유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힘없는 국민들을 대신해서 대한민국 정부가 나서야 한다. 해외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의 안녕을 위해서, 그리고 무의미한 국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정부가 미국 정부에 이민자를 위한 예외 규정을 만들라고 요구할 때다.

당장은 실현가능성이 낮아 보여도 이런 규정의 타당성과 당위성을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면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그것이 국력이고 외교력이라고 생각한다.


최재경
공인회계사
회원 답변글
w**egu**** 님 답변 답변일 8/2/2011 10:00:31 PM
(1) 옛날부터 미국세법은 (한국도 마찬가지) 국내건 국외건 모두 수입에 대하여 보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외에 재산이 있었으면 작은 이자라도 수입이 있었을 것이고 원칙적으로 보고의 의무가 있습니다. 몰라서 안했다건 설득력이 없지요. 그냥 내기 싫었다는게 정직한 대답이 아닐런지요.
(2) 비밀 보장으로 유명한 스위스에 금융자산 가져다 놓을 정도의 사람들이 "전혀 몰랐다" 고 하면 설득력이 없지요. 스위스 금융구좌 아무라 여는거 아니거든요.
(3) 법에 대한 정부의 집행이 없었으니 법이 타당하지 않다는것도 설득력이 없지요. Stop Sign 에서 그냥가도 경찰 없으면 그만이고 생전에 처음해도 경찰 있었으면 벌금 내지요.
(4) 한국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하셨는데, 한국도 지난 6월말로 "외국자산 자진신고" 기간 이었습니다. 한국정부도 은닉이든 고의이던 몰랐던 외국자산에서 세금 겉으려고 안달입니다.
(5) 미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들이 금융위기와 경기 침체로 세금 수입이 크게 줄어 들었습니다. 5% 만 징수해도 다행입니다. 당분가 냈던 세금도 더 낼텐데 안낸세금 줄이기를 원하는건 힘든 기대 같습니다.

머니/재테크 분야 질문 더보기 +

주의 !
상담 내용은 질문자의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의 소견으로, 답변과 관련하여 답변한 전문가나 회원, 중앙일보, 조인스아메리카의 법률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추천전문가 전문가 리스트+

인기 상담글

ASK미국 공지 더보기 +

미국생활 TIP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