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혜택서비스] 상담 글 질문에 공감하시면 '나도 궁금해요'버튼을 눌러주세요.

  • 글꼴 확대하기
  • 글꼴 축소하기

Q.장애아 관련 복지

지역Georgia 아이디e**e43****
조회6,199 공감0 작성일2/20/2013 5:11:05 PM
안녕하세요

가족들이 올해 1월에 영주권을 받고 미국에 들어왔습니다.
둘째 아이가 자폐아이고 고등학생입니다.

장애아 관련 복지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세금상으로도 보고를 해야 하는 것인지요?

자폐아 관련 서비스 프로그램을 찾으려면 어떻게 하면 되는 지요?

참고로 저희가 사는 곳은 애틀란타 입니다.

감사합니다.
0/1000

* 등록된 총 답변수 8개입니다.

회원 답변글
t**y**** 님 답변 답변일 2/20/2013 10:32:59 PM
저는 LA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동네에 있었던 실제 상황입니다.
7년전에 동네에 2집이 주재원으로 들어 왔고 그집 아줌마들이 집사람과
나이도 비슷하고 고향도 비슷해서 많이 가까와 졌습니다.
그리고 한집은 1년 빨리 왔습니다.
본론으로 들어 갑니다.
두집다 아이가 자폐였습니다. 둘다 초등학생이였구요, 먼저 온 집은 처음에는 모르다가
나중에 아이 행동을 보고 집사람이 이상하다 생각 했지만 당사자가 말을
안하니 모른체 했습니다. 다만 그 집 아줌마가 우리아이가 너무 천재성기질로 간혹 이상하다고
말하곤 했다고 합니다.
늦게 온 집은 처음 부터 우리애가 좀 이상 하다고 하다가 나중에 자폐라고 말을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집사람이 학교에같이 가서 통역도 좀 해 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먼저 온 집이 귀국 하면서 저의 집사람에게 사실 대로 말하며 엄청 후회를 했다고 합니다.
그 누구에게도 아이 상태를 말하지 안고 학교에도 사실 대로 말하지 않은 것을....
나중에 온 집은 돌아 가면서 너무 뿌듯하게 돌아 갔다고 합니다..
학교에 말하니 학교랑 어떤식으로 연결 되었는지 모르지만 전문가가 주기 적으로 와서
상담 및 뭔가를 했고 주기적으로 전문가 치료를 받을 수가 있었다고 합니다.

너무 서론이 길었습니다.
우선 학생이니 학교에 상황을 설명 하시고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학생은 부모 상황은 상관이 없습니다.
Georgia 주 해당 교육구는 어떤지 모르지만 제 생각에 전반적으로 미국은
이런 부분에서 비슷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확실치는 않지만 학교에서 장애아 전문 학교를 원하는지 아니면 그냥 일반 학교를
원하는 지 물어보면 그건 부모님께서 알아서 판단하세요.
저는 참고로 증세가 웬만하면 그냥 일반 학교를 추천합니다.
s**ndki**** 님 답변 답변일 2/21/2013 9:31:45 AM
우리 경우를 말씀드릴께요(CA)
아들이 발달 장애로 한국에서 많은 시달림을 받다가 미국에 들어와서는 너무나 행복해 합니다. 아무도 bother하지 않고 친절하게 도와주니까!
고등학교때 미국에 입국해서 첫번째로 Regional Center(장애인 등록과관리단체)에 등록을 했습니다. 과연 장애인인지를 심사하는 곳이지요. 그런 다음에, 교육국의 안내로 인근의 장애아동을 교육하는 Special Class에 들어가서 공부(스쿨버스 제공), 정상적인 학사 일정에 따라 고등학교 졸업 할 때 졸업, 그러고도 2년 정도 더 연장 교육을 받았습니다. 그때까지는 교육국 관리

고교 2년 연장교육이 끝나고 나서는 Reginal Center의 관리에 들어갔는데 아들이 College에 가길 원하니 학교 통학을 위해 교통편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셔야 할 일은
1. Regional Center에 등록 하고 교육국에 등록하기-많은 서류 준비가 필요하겠지요.
2. 고등학교 졸업때까지는 교육국 관리(이때까지는 학교 ID)
3. 그 후에 DMV에 가서 ID 발급 받기
4. Social Office에 가서 등록하기(시민권을 받아야 장애 연금-월페어나옴)

여기 CA의 OC에서는 한인의 Regional 직원들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는데 거기도 가능성이 있겠지요.

좋은 결과가 있기를바랍니다.
h**ee319**** 님 답변 답변일 2/21/2013 10:00:02 AM
seandkim님:
3칸 아래 '시민권취득후의 수속'에 올린 글입니다만

26살난 자폐증 아들이 이번에 시민권 취득하게 되는데
기존의 메디칼을 어떻게 메디케어로 바꿀 수있는지..
기타 어떤 수속이 필요한지 아시는대로
답변해주시면 정말 고맙겠습니다.
s**ndki**** 님 답변 답변일 2/21/2013 2:24:50 PM
Paul (hrlee3196)님!
영주권자로서 5년이 지난 후에 시민권 시험 자격이 주어지는데 일반인들과 달리 장애인에게는 더 많은 시민권 신청서류가 들어 가지요, 그동안 다닌 학교, 관리 해 주고 있는 Rigional Center, 혹은 다녔던 병원등의 기록을 시민권 신청시에 제출 하면 심사하여 인터뷰가 있게 되는데, 정말 장애아들을 배려해주고 있는 모습을 시민권 인터뷰때 보게 될 것 입니다.
인터뷰가 끝나고 나서 선서식에서 시민권을 받게 되면 가능한 한 빨리 Social Office에 가서 장애연금을 신청하시고 그 자리에서나 혹은 Regional Center에 도움을 요청하여 메디칼을 받게 되는데 저희 경우엔 메디칼 카드로 아들의 병원 문제가 다 해결 되던데요. 심지어 전기 개스요금의 할인 도 같이 사는 경우엔 받게 되구요.

저희 담당 Regional Center 직원도 메디케어에 대한 언급이 없었습니다. 정기적인 방문으로 아들의 상태를 점검 해 줍니다. 장애아동이 받을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말해 주어서 여러가지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만, 메디케어에 대한 것은 저도 모르겠습니다. 더 정확한 정보는 담당 Regional Cenrter 직원 분께 알아보시지요.
감사합니다.

e**e43**** 님 답변 답변일 2/21/2013 5:31:17 PM
자세한 답변들 올려 주신분들께 감사 말씀드립니다.

1) Regional center에 등록하라고 말씀 하셨는 데 어느 center를 말씀 하시는 지요? Disability regional center 같은 곳을 말씀 하시는 것인지............. 각 지역의 장애 담당 센터는 어떻게 알아보면 되나요? 교육청에서 알려 줄까요?

2) 장애아라 영주권만 취득가능하고 시민권 취득은 안되는 줄 착각했네요. 시민권 시험에 통과 못할거라는 생각에....
장애아가 시민권을 취득 할 수 있는 조건이 많은 가요?

3) 고등학교를 졸업 후 2년후 추가적인 교육이 이루어 진 후에는 저희 아이들이 교육을 받거나 따로 다닐 수 있는
센터들은 없나요? 한국에서는 이런 문제들로 부모들이 모여서 복지관을 세우는 경우도 있거든요.
학교 졸업후의 교육센터가 걱정되네요..

감사합니다.
s**ndki**** 님 답변 답변일 2/21/2013 8:41:42 PM
caster yoon (ease437)님
1. 저희가 사는 지역은 CA 의 Orange County입니다. Georgia 주의 상황은 제가 모릅니다만, 장애인들을 관리하는 기관이 말씀하신 그곳인지는 한번 문의를해보시지요, 여기서는 일단 리즈,날 센타에 등록하면,학교 다닐 때 까지는 교육국에서 관리하고 그후에는 평생을 리즈날 센타에서 관리를 해 주고있습니다.
2. 시민권을 따지 않으면 장애자녀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늘어나지 않습니다. 부모가 끝까지 돌봐 줄 수 없을테니까..
장애 자녀의 시민권자 되는 길은 일반인과 똑같은 기간, 즉 영주권자로서 5년이 지나야 자격이 되는 것은 같습니다만, 일반인처럼 인터뷰에서 준비된 과정을 제대로 해 낼 수 없잖아요? 그래서 서류준비가 잘 되어야 한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처음 등록한 리즈날 센타의 기록들, 그동안 다닌 학교의 기록들, 병원 기록들을 그 기관들의 협력을 받아 제출하여 시민권 신청을 합니다. 그러면 이민국에서 제출된 서류를 검토하고 혹 부족하다 싶으면 보충서류를 요구하여 서류심사에 통과되면 인터뷰 날자가 주어집니다. 저의 경우엔, 제가 우리 아이하고 같이 인터뷰 했는데 제 아들 서류가 제가 시민권 인터뷰 했을 때에 보았던 서류더미(?) 보다 훨씬 더 많았다는것에 놀랬고, 제가 만났었던 인터뷰어 보다 훨씬 더 친절하게 질문하고 아이가 대답하지 못하면 제가 대답해 주고 지금 현재의 대통령이누구냐는 질문에 대답을 못하니까 대신 자신이 답을 알려주고 따라하게 할 정도였고 쉬운 문장을 써보라고 해서 보통 인터뷰과정을 다 거치면서도 수시로 수퍼바이저에게 자문을 구하면서 인터뷰를 통과하게 되었었지요, 그리고 나서 소셜 오피스에 가서 월페어를 신청하였고 메디칼도 받게 되었지요,
3, 고등학교 Special class을 마치고 추가로 2년 을 더 공부하여고교 과정을 마쳤는데 caster yoon (ease437)님의 자녀는 어떤 상태인지 모르지만 저의 아이는 일반 class에 들어 갈 수 없는 수준이었기에 일반 고교의 특수교실에서 배우게 되었었지요, 고등학교 를 마치니 리즈날센터에서 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를 문의하였는데 우리 아이는 학교에 다니길 원해서 (Job skill배우는 경우도 있고 다양한 방향이 있더라구요,) College에 들어가게 되었는데 수준을 못 따라가는 상황이기에 기초교실에서 몇년을 배우게 되었고 지금은 앞으로 혼자 살아갈 수있는 자립 생활을 배울 교실에 Waiting List해놨습니다.가을 학기에 갈 수 있기를 바라며 카운슬러하고의 만남을 5월에 갖기로 했습니다. 여기서는 아이 혼자 살아가는
방법과 또는 혼자 따로 살게 하는 기회, 또는 Group Home에 맡기는 경우 등도 있는데 계신곳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평생 교육 또는 특별 교육등은 Community Collegy등에서 많이 실시하고 있으니 리즈날 센타의 도움을 받으시지요.

caster yoon (ease437)님! 일단 교육국에서 관리하게 한 후에 차근 차근 시민권, 고교 졸업 후의 과정들을 생각하시는게 좋겠네요, 저희가 처음 미국에 왔을 때는 아무것도 몰라서 방황하고 언제 제대로 돌보게 되는가 걱정했는데 찾고 두르리고 알아보면 자녀를 위한 좋은 기회를 만나게 될 것 입니다. 걱정하지 마시고 좋은 일들이 있을 겁니다.

힘내시고 행복하십시요
e**e43**** 님 답변 답변일 2/21/2013 9:32:46 PM
정말 감사합니다.

자세한 설명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아픈 아이를 가진 부모의 마음을 함께 공유하는 거 같아서
많이 힘이 되는 거 같습니다.
참, 혹시 인터넷 사이트 중에서 미국에 장애인 부모들 끼리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사이트는 없나요?

계속 되는 질문 죄송합니다.

우선 많이 감사하다는 말씀과 함께 띄웁니다.
s**ndki**** 님 답변 답변일 2/22/2013 6:12:37 AM
caster yoon(ease437)님
한인 장애인과 관련된 사이트는 제가 아직 발견하지 못했고요,
여기에서는 여러 교회에서 (사랑의교회, 은혜한인교회 ) 청각 장애 인 교회,혹은 전체 장애인 상대의 사역이 있고
여러 선교회들이 활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 여건이 되시면 관련 사이트를 만드시면 어떠신가요?

많은 도움과 정보와 격려가 되겠지요.
감사합니다.

정부혜택서비스 분야 질문 더보기 +

주의 !
상담 내용은 질문자의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의 소견으로, 답변과 관련하여 답변한 전문가나 회원, 중앙일보, 조인스아메리카의 법률적 책임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추천전문가 전문가 리스트+

인기 상담글

ASK미국 공지 더보기 +

미국생활 TIP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