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실험 끝, 프린스턴은 왜 다시 시험을 선택했나? ▶문= 프린스턴대가 2028년 가을 학기부터 지원자들의 SAT/ACT 시험 점수를 다시 요구하기로 결정했다. 그 배경은 무엇인가? ▶답= 7년간의 실험이 끝났다. 프린스턴대가 2028년 가을 학기부터 SAT 또는 ACT 점수 제출을 다시 의무화한다고 발표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도입됐던 '테스트 옵셔널' 정책의 종료다. 하버드, 예일, 유펜, 다트머스, 브라운, 코넬 등이 이미 같은 결정을 내린 상황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0/23 11:12 편집용 미주기사
‘SNS’도 본다, 입학사정의 새로운 변수 ▶문= 대학들은 지원자의 SNS계정을 들여다볼까? ▶답= 대학 입시를 치르는 12학년생이라면 성적과 에세이에 신경 쓰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최근 입시 과정에서 또 하나의 평가 요소가 부상하고 있다. 바로 지원자의 SNS 계정이다. 입학사정관들이 지원자의 인스타그램, 틱톡, X 등을 직접 들여다보는 일이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이는 이제 무시할 수 없는 트렌드가 됐다. 교육 기업 캐플란의 조사에 따르면 SNS를 참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0/17 16:42 편집용 미주기사
공립·사립 선택, 편견보다 데이터로 따져야 ▶문= 공립대, 사립대 중 어디가 좋을까? ▶답= 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가장 근본적인 차이는 자금 조달 방식이다. 공립대학은 주로 해당 주정부 예산으로 운영되고, 사립대학은 동문과 기부자들의 기부금인 '인다우먼트'로 운영된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가 각각의 특성을 만들어 낸다. 공립대학의 가장 큰 특징은 거주민에게 입학 우선권을 준다는 것이다. UCLA나 미시간 대학교 같은 명문 주립대학도 예외가 아니다. 물론 경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10/08 17:32 편집용 미주기사
표준시험 의무화 없는 대학, 정말 더 포용적일까? ▶문= SAT, ACT 옵셔널 정책이 다양성 확보의 만능 열쇠일까? ▶답= 지난 몇 년간 대학가에서는 하나의 트렌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SAT나 ACT 같은 표준 시험을 입학 필수 조건에서 제외한 대학이 급증한 것이다. 특히 팬데믹을 거치면서 이런 움직임은 더욱 가속화됐다. 그 배경에는 표준 시험이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불평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이 자리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테스트 옵셔널 정책만으로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09/30 11:07 편집용 미주기사
고교생들이 갖춰야 할 진짜 역량 ▶문= 미래를 준비하는 고교생들이 갖춰야 할 특별한 스킬이 있다면? ▶답= 인공지능이 산업 전반을 재편하고 Z세대가 역사상 가장 기업가 정신이 강한 세대로 부상하면서 전통적인 교육 준비 방식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은 시대가 왔다. 오늘날의 10대들에게는 단순한 좋은 성적과 표준화된 시험 점수를 넘어서는 역량이 필요하다. 가장 성공적인 10대들은 학업적으로만 준비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대학 입학과 미래 커리어에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09/22 16:32 편집용 미주기사
졸업 후까지 내다본 대학 선택, 가성비 판단 기준은? ▶문= 대학의 ‘진짜 가성비’는 어떻게 판단할까? ▶답= 입학 후 1~2년이 지나서야 깨닫게 되는 현실들이 있다. 기대했던 학업 기회가 제공되지 않거나, 졸업 필수과목을 수강할 수 없거나, 2학년부터 재정보조가 급격히 줄어드는 상황 말이다. 이런 예상치 못한 문제들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스트레스를 크게 증가시켜 대학 생활 전반에 부담을 준다. 그렇다면 특정 대학이 과연 '가치 있는 선택'인지 어떻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09/09 13:57 편집용 미주기사
신입생 첫 4주, 대학생활 성패 가른다 ▶문=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위해 신입생이 신경 써야 할 점은 무엇인가? ▶답= 매년 8월이면 전국의 대학 캠퍼스는 새로운 에너지로 가득 찬다. 설렘과 불안이 교차하는 신입생들의 얼굴에서 우리는 무한한 가능성을 본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중 상당수는 그 가능성을 제대로 펼쳐 보지 못한 채 캠퍼스를 떠나게 된다. 미국 국가학생정보센터의 냉혹한 통계가 이를 증명한다. 2022년 가을 입학생 중 76.5%만이 이듬해 가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09/03 17:37 편집용 미주기사
입시의 핵심은 기본기, 성실함이 경쟁력이다 ▶문= 학생들이 알아야 할 가장 기본적인 입시 전략은? ▶답= 입시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 쌓아온 노력의 결과다. 화려한 스펙이나 특별한 경험도 중요하지만 결국 기본기가 탄탄해야 한다는 뜻이다. 입시는 때론 내가 컨트롤할 수 없는 변수들로 가득해 보인다. 다른 지원자들의 실력, 그해의 경쟁률, 대학의 정책 변화 등 어찌할 수 없는 일들이 많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통제 가능한 요소에 집중하 지나김/CEO, Admission Masters 2025/08/20 17:56 편집용 미주기사